정보 / / 2022. 12. 19. 15:29

2023년부터 바뀌는 1종 자동 면허 , 갱신

1종 자동면허
자동면허

 

2023년까지 대략 10일 정도 남았습니다.

2023년부터 바뀌는 제도 중 하나인 1종 자동 면허 , 갱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기존에 있는 1종 보통 면허, 2종에 면허에 대한 기준을 보겠습니다.

 

예전에는 1종 보통(수동) 면허, 2종 보통 면허(자동/수동) 중에서 선택해서 취득했습니다.

1종 보통(수동)이 2종 자동 면허보다 취득방법이 더 어려웠습니다.

 

1종-2종-자동면허
자동면허

 

2021년 차량 등록 대수 통계에 따르면 80%는 자동변속 차량이라고 합니다.

즉, 10 대중 8대가 자동 기어가 장착된 차량이라는 것입니다.

그만큼 지금은 자동 기어가 장착된 차량이 많이 나오고 있다는 것입니다. 

 

자동 기어 장착 차량이 늘어나는 것에 따라,  2023년 새롭게 도입할 예정인 제도가

바로 1종 '자동' 면허입니다.

 

1종 보통(수동) 면허를 취득해도 수동 조작보다는 자동 기어 운전만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1종 보통 면허를 취득하지 않아도 되고 1종 자동 면허를 취득하면 운전이 가능해질 예정입니다.

 

또  2종 자동 면허의 경우 지금까지는 수동 시험을 다시 봐야 1종 보통 면허 취득이 가능했지만

1종 자동 면허가 제도가 도입되면 2종 자동 면허 보유자가 7년 이상 무사고인 경우 1종 자동 면허로 갱신 가능합니다.

 

이렇게 되면 2종 자동 면허를 가진 사람은 따로 운전면허 시험을 보지 않아도 

자동 기어가 장착된 11인승 차량을 운전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화물 및 특수 차량도 45퍼센트로 자동 기어를 사용합니다.

화물 특수차량, 승용차, 승합차까지 수동이 아닌 자동 기어를 장착한 차량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리고 화물차는 화물운송사자 자격증을 취득해야 가능합니다.

운전적성검사와 필기시험을 보고 취득 가능합니다.

 

또한, 운행하려는 차가 수동이면 해당사항이 없지만,

자동 기준 15인승 이하 승합차를 운전하실 분들은 1종 보통(수동) 면허를 따지 않아도 돼서 불편함이 해소되실 거 같습니다.

 

추가로 

2023년 바뀌는교통 법규는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2022.12.21 - [정보] - 2023년 바뀌는 교통법들 운전자, 보행자, 대중교통

 

2023년 바뀌는 교통법들 운전자, 보행자, 대중교통

2023년 바뀌는 교통법규들 운전자, 보행자, 대중교통 등이 포함된 8가지의 교통법규가 바뀝니다. 1. 고속도로 앞지르기 과태료 승용차 기준 과태료 7만원 승합차 기준 과태료 8만원 기존에는 앞지

blog.yerom.co.kr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