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란?
청년층 지원 대선공약인 '청년도약계좌'입니다.
연간 최대 70만 원씩 5년간 저축할 경우 5000만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가입조건, 신청기간을 알아보겠습니다.
24일 국회에서 23일에 개정이 확정된 조세특례제한법에서 청년도약계좌 개설 시
과세특례를 부여하기 위해 조항이 신설됐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 가입자격?
- 연령 : 만 19~ 34세
- 소득기준 : 연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연 6300만원 이하 청년
- 월 납입액: 최대 70만 원
- 납입기간: 5년
계좌 기입 신청 직전 3개 연도에서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면 가입할 수 없습니다.
5년간 의무가입해야만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도해지 시 감면세액이 추정되어 혜택이 줄어듭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방법?
2023년 6월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
청년희망금과 차이점?
2022년 청년희망적금은 최대 월50만원 납입이 가능한 2년 만기형 적금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추가 가입 없이 2년 만기가 종료되는 2024년 2~3월에 종료 예정입니다.
기존의 가입자만 이용할 수 있고, 더 이상 가입은 어렵습니다.
청년희망적금과 달리 청년도입계좌에서는 가구 소득이 추가됐습니다.
가구 소득은 높은데, 개인 소득이 낮은 정부 지원금을 받아가는 걸 막기 위한 조치입니다.
가구소득 확인
청년도약계좌 최대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소득이 낮다면 납입금의 6%
소득이 높으면 납입금의 3% 붙는 방식이 될 전망입니다.
월70만원에 6% 기여금이 붙으면 74만 2000원 X 5년 = 4452만원이 됩니다.
4452만원에 은행에서 제공하는 이자 수익이 추가됩니다.
연 5% 금리로 계산하면 약 5000만원 수준입니다.
아직 금리가 확정되지 않았지만 금리가 오를 것을 생각하면 5%보다 더 높을 수도 있습니다.
정부 지원은 계좌에서 발생하는 손익 등을 정부가 부담하고, 만기 해지 시 이자. 배당 소득에
대해 비과세하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모인 금액을 예. 적금, 펀드, 국내상장주식 등으로 운용해 수익을 낸 뒤 지원금으로 사용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청년들에게 주는 금융혜택이 많이 많이 나오고 있네요.
중년층을 위한 금융혜택도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방법, 신청방법 등 상세한 가이드라인이 나오면 더 추가하겠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강아지 산책 주의사항, 준비물 (0) | 2022.12.26 |
---|---|
실내마스크 해제 기준. 의무에서 권고로 (0) | 2022.12.25 |
추운 겨울 저체온증 증상과 예방법 (0) | 2022.12.24 |
2023 부동산 규제 완화 총정리 (1) | 2022.12.23 |
겨울 폭설 한파대비 한파경보 한파주의보 (0) | 2022.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