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 / 2022. 12. 24. 18:46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층 지원 대선공약인 '청년도약계좌'입니다.

연간 최대 70만 원씩 5년간 저축할 경우 5000만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가입조건, 신청기간을 알아보겠습니다.

 

24일 국회에서 23일에 개정이 확정된 조세특례제한법에서 청년도약계좌 개설 시 

과세특례를 부여하기 위해 조항이 신설됐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 가입자격?

  • 연령 : 만 19~ 34세
  • 소득기준 : 연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연 6300만원 이하 청년
  • 월 납입액: 최대 70만 원
  • 납입기간: 5년

 

계좌 기입 신청 직전 3개 연도에서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면 가입할 수 없습니다.

5년간 의무가입해야만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도해지 시 감면세액이 추정되어 혜택이 줄어듭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조건

 

청년도약계좌 가입방법?

2023년 6월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 

 

청년희망금과 차이점?

2022년 청년희망적금은 최대 월50만원 납입이 가능한 2년 만기형 적금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추가 가입 없이 2년 만기가 종료되는 2024년 2~3월에 종료 예정입니다.

기존의 가입자만 이용할 수 있고, 더 이상 가입은 어렵습니다.

 

청년희망적금과 달리 청년도입계좌에서는 가구 소득이 추가됐습니다. 

가구 소득은 높은데, 개인 소득이 낮은 정부 지원금을 받아가는 걸 막기 위한 조치입니다.

 

가구소득 확인

가구소득
가구소득

청년도약계좌 최대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소득이 낮다면 납입금의 6%

소득이 높으면 납입금의 3% 붙는 방식이 될 전망입니다.

 

월70만원에 6% 기여금이 붙으면 74만 2000원 X 5년 = 4452만원이 됩니다.

 

4452만원에 은행에서 제공하는 이자 수익이 추가됩니다.

연 5% 금리로 계산하면 약 5000만원 수준입니다.

 

아직 금리가 확정되지 않았지만 금리가 오를 것을 생각하면 5%보다 더 높을 수도 있습니다.

 

정부 지원은 계좌에서 발생하는 손익 등을 정부가 부담하고, 만기 해지 시 이자. 배당 소득에 

대해 비과세하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모인 금액을 예. 적금, 펀드, 국내상장주식 등으로 운용해 수익을 낸 뒤 지원금으로 사용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신청
청년도약계좌신청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들에게 주는 금융혜택이 많이 많이 나오고 있네요.

중년층을 위한 금융혜택도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방법, 신청방법 등 상세한 가이드라인이 나오면 더 추가하겠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